단순경비율 편집하기

부동산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필요경비를 추정하여 계산하는 '''[[추계신고방법|추계신고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경비율|경비율]]'''로, 주로 영세한 사업자들을 위해 수입금액이 적은 경우에 한해 적용 가능하다.
필요경비를 추정하여 계산하는 [[추계신고방법|'''추계신고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경비율|'''경비율''']]로, 주로 영세한 사업자들을 위해 수입금액이 적은 경우에 한해 적용 가능하다.


==단순경비율 적용 가능 기준==
== 단순경비율 적용 가능 기준 ==


*단순경비율 대상이 아닌 경우 [[기준경비율]]을 적용
* 단순경비율 대상이 아닌 경우 [[기준경비율]]을 적용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업종 그룹
!업종 그룹
!업종 상세
!업종 상세
!계속사업자
!단순경비율 대상
(직전년도 기준)
!신규사업자
(해당년도기준<ref>기존에는 직전년도 매출액이 없는 경우 해당년도의 매출이 아무리 커도 단순경비율 적용이 가능하였으나, 19.1.1.부터 해당년도 수입금액이 복식부기 의무자 기준금액 이상인 경우 단순경비율 적용을 배제하였다. 즉, 전년도 매출이 없는 신규 사업자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 크면 단순경비율을 적용시켜주지 않겠다는 것이다.</ref>)
|-
|-
|<1그룹>
|<1그룹>
|농업·임업·어업, 도매 및 소매업, 부동산매매업 등 1그룹, 2그룹에 속하지 않는 사업
|농업·임업·어업, 도매 및 소매업, 부동산매매업 등 1그룹, 2그룹에 속하지 않는 사업
|6천만원 미만
|6천만 원 미만
|3억원 미만
|-
|-
|<2그룹>
|<2그룹>
|제조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 건설업, 금융 및 보험업 등
|제조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 건설업, 금융 및 보험업 등
|3,600만원 미만
|3,600만만 원 미만
|1억5천만원 미만
|-
|-
|<3그룹>
|<3그룹>
|'''부동산임대업''', '''부동산관련 서비스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 등
|부동산임대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 협회 및 단체
|2,400만원 미만
|2,300만만 원 미만
|7500만원 미만
|}
|}
※ 참고용으로, 모든 업종을 표시한 것이 아니므로 업종별 어떤 그룹에 속하는지는 국세청 고시 등 별도 확인 필요
※ 참고용으로, 모든 업종을 표시한 것이 아니므로 업종별 어떤 그룹에 속하는지는 국세청 고시 등 별도 확인 필요


==단순경비율 적용 방법==
== 단순경비율 적용 방법 ==
'''소득 금액 = 수입 금액 – (수입 금액 X 단순경비율)'''
'''소득 금액 = 수입 금액 – (수입 금액 X 단순경비율)'''


==단순경비율 확인==
== 단순경비율 확인 ==
국세청 홈택스 및 국세청 고시 통해서 확인 가능
국세청 홈택스 및 국세청 고시 통해서 확인 가능


===홈택스에 조회===
=== 홈택스에 조회 ===
[조회/발급] - [기준·단순 경비율(업종코드)] 메뉴
[조회/발급] - [기준·단순 경비율(업종코드)] 메뉴
[[파일:홈택스 경비율 조회 메뉴.png|섬네일|700x700픽셀|국세청 홈택스 - 조회/발급 - 기준·단순 경비율(업종코드)|대체글=|없음]]
[[파일:홈택스 경비율 조회 메뉴.png|왼쪽|섬네일|700x700픽셀|국세청 홈택스 - 조회/발급 - 기준·단순 경비율(업종코드)]]
 
 
 
 
 
 
 
 
 
 
 
 


업종코드 입력 후 확인
업종코드 입력 후 확인
[[파일:홈택스 부동산임대업 경비율.png|섬네일|700x700픽셀|부동산임대업-비거주용(701201) 조회 결과 예시|대체글=|없음]]
[[파일:홈택스 부동산임대업 경비율.png|왼쪽|섬네일|700x700픽셀|부동산임대업-비거주용(701201) 조회 결과 예시]]
 
 
 
 
 
 
 
 
 
 
 
 
 
<br />


===국세청 고시 확인===
=== 국세청 고시 확인 ===
[https://www.nts.go.kr/info/info_06_05.asp?minfoKey=MINF6920080211211738&type=V 국세청 홈페이지에 고시된 2019년 경비율]
[https://www.nts.go.kr/info/info_06_05.asp?minfoKey=MINF6920080211211738&type=V 국세청 홈페이지에 고시된 2019년 경비율]
[[파일:국세청 홈페이지 경비율 조회.png|섬네일|700x700픽셀|국세청 홈페이지 - 국세정보 - 기타책자 참고 - '경비율'로 검색|대체글=|없음]]
[[파일:국세청 홈페이지 경비율 조회.png|왼쪽|섬네일|700x700픽셀|국세청 홈페이지 - 국세정보 - 기타책자 참고 - '경비율'로 검색]]




'''(참고) 2019년 기준 부동산 관련 사업 경비율'''
 
 
 
 
 
 
 
 
 
 
 
2019년 기준 부동산 관련 경비율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rowspan="2" |업종코드
! rowspan="2" |업종코드
252번째 줄: 283번째 줄:
|21.2
|21.2
|}
|}
==같이 보기==
*[[경비율]]
*[[기준경비율]]
부동산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부동산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