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 편집하기

부동산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과세를 통한 부의 재분배에 따른 빈부격차 완화를 그 목적으로 한다.
*과세를 통한 부의 재분배에 따른 빈부격차 완화를 그 목적으로 한다.


==개요==
== 개요 ==


*사망자(피상속인)의 상속재산 전체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
* 사망자(피상속인)의 상속재산 전체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
**부동산계산기에서 계산시에도 전체 상속재산가액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함
** 부동산계산기에서 계산시에도 전체 상속재산가액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함
*상속인들은 연대납세의무를 지지만 상속인별로 각자 신고∙납부하지 않고 신고인이 대표로 신고∙납부
* 상속인들은 연대납세의무를 지지만 상속인별로 각자 신고∙납부하지 않고 신고인이 대표로 신고∙납부
**사망월 말일로부터 6개월 이내 납부
** 사망월 말일로부터 6개월 이내 납부
*상속의 권리관계, 재산분할, 상속포기 등은 민법의 규정을 적용
* 상속의 권리관계, 재산분할, 상속포기 등은 민법의 규정을 적용
 
==상속세 계산기==
 
*[http://부동산계산기.com/상속세 부동산계산기 - 상속세 계산]


==상속재산가액==
==상속재산가액==


===상속재산가액의 구성===
=== 상속재산가액의 구성 ===
본래의 상속재산 + 간주상속재산 + 추정상속재산
본래의 상속재산 + 간주상속재산 + 추정상속재산


*'''본래의 상속재산:''' 상속일 현재 상속의 대상이 되고 재산적가치를 지니는 원칙적인 과세물건(부동산 등)
* 본래의 상속재산: 상속일 현재 상속의 대상이 되고 재산적가치를 지니는 원칙적인 과세물건(부동산 등)
*'''간주상속재산:''' 법에 의하여 상속재산으로 보는 보험금, 퇴직금, 신탁재산
* 간주상속재산: 법에 의하여 상속재산으로 보는 보험금, 퇴직금, 신탁재산
*'''추정상속재산:''' 재산 종류별(①현금 등, ②부동산, ③기타재산)로 그 사용이 명백하지 않은 1년 이내 2억원, 2년 이내 5억원 이상 재산처분∙인출액, 부담채무
* 추정상속재산: 재산 종류별(①현금 등, ②부동산, ③기타재산)로 그 사용이 명백하지 않은 1년 이내 2억원, 2년 이내 5억원 이상 재산처분∙인출액, 부담채무
**= (재산처분∙인출액∙부담채무 – 용도입증액) – Min(재산처분∙인출액∙부담채무 x 20%, 2억원)
** = (재산처분∙인출액∙부담채무 – 용도입증액) – Min(재산처분∙인출액∙부담채무 x 20%, 2억원)


===[[상속재산 평가]]===
=== [[상속재산 평가]] ===
상속세가 부과되는 재산의 가액은 상속세및증여세법 제60조 내지 제66조의 규정에 의하여 상속개시일 현재의 시가를 기준으로 한다.
상속세가 부과되는 재산의 가액은 상속세및증여세법 제60조 내지 제66조의 규정에 의하여 상속개시일 현재의 시가를 기준으로 한다.


46번째 줄: 42번째 줄:
*주택 외의 건물: 국세청장 고시가격
*주택 외의 건물: 국세청장 고시가격


====저당권·임대차 평가====
==== 저당권·임대차 평가 ====


*임대차 중인 재산: 임대료등 환산가액
*임대차 중인 재산: 임대료등 환산가액
54번째 줄: 50번째 줄:
**담보채권액 등 저당권 설정 재산의 평가액
**담보채권액 등 저당권 설정 재산의 평가액
**시가나 보충적 시가평가 금액, 저당권 설정 재산 중 가장 큰 금액을 사용
**시가나 보충적 시가평가 금액, 저당권 설정 재산 중 가장 큰 금액을 사용
==과세가액==
상속재산가액 + 가산 증여재산 – 비과세재산 – 과세가액불산입 – 공과금 – 채무 – 장례비용
*'''(+)증여재산가액:''' 상속개시일 전 10년(상속인 이외의 자 5년) 이내에 증여한 재산
*'''(-) 비과세재산:''' 금양임야, 국가 등에 유증한 재산 등 법에서 규정한 과세제외 재산
*'''(-) 과세가액불산입:''' 공익목적 출연재산가액, 공익신탁재산가액
*'''(-) 공과금:''' 상속개시일 현재 피상속인이 납부할 의무가 있는 조세 및 공과금
*'''(-) 채무:''' 상속재산에 담보된 채무, 국가 등에 대한 채무, 증빙 확인되는 채무
*'''(-) 장례비용''': Min[1천만원, Max(5백만원, 봉안시설 외 장례비)] + Min(5백만원, 봉안시설소요비용)
==상속재산공제==
*'''배우자공제''' = Min[30억원, Max(5억원, Min(법정상속액, 실제상속액))]
**법정상속액 = (총상속재산가액 + 10년이내 상속인 증여재산가액 – 상속인 외의 자에게 유증한 재산가액 – 과세가액불산입 – 비과세 재산 – 채무 – 공과금) x 법정지분율 – 배우자가 사전 증여 받은 증여세과세표준
**실제상속액 = 배우자의 총상속재산가액 – 배우자가 상속받은 비과세재산 가액 – 배우자의 처분재산 등 산입액 – 배우자가 승계한 공과금, 채무
*'''기타 인적공제'''
**자녀공제: 1인당 3천만원
**미성년자공제: 500만원 x 20세까지의 연수
**연로자공제: 1인당 3천만원
**장애인공제: 500만원 x 기대여명까지의 연수
*'''기초공제:''' 2억원
**일괄공제와 비교 선택 = Max[5억원, (기초공제 + 기타 인적공제)]
*'''가업상속공제''' = 가업상속재산가액에 상당하는 금액(한도: 200~500억원)
*'''영농상속공제''' = Min(5억원, 영농재산가액)
*'''금융재산상속공제'''
**순금융재산이 2천만원 미달시 = 순금융재산가액
**순금융재산이 2천만원 초과시 = Min[2억원, Max(2천만원, 순금융재산가액 x20%)]
*'''재해손실공제:''' 상속세 신고기한 내 멸실∙훼손된 상속재산의 손실가액
*'''동거주택상속공제:''' 상속인(직계비속에 한정)이 10년이상 동거한 주택가액x40% (5억원 한도)
*'''[[상속공제 종합한도|종합한도]]:''' 상속세 과세가액 – 상속인 외 유증∙사인증여 재산가액 – 상속인 상속포기로 차순위자 상속재산가액 – 가산한 증여재산 과세표준
==과세표준==
상속세 과세가액 – 상속재산공제


==[[증여세]]와의 차이==
==[[증여세]]와의 차이==
부동산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부동산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