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대이론 편집하기

부동산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넘겨주기 [[지대 이론]]
지대란 일정기간 동안의 토지서비스의 가격이다. 이는 토지소유자의 소득으로 귀속되는 임대료를 지칭하며 유량의 개념이다.
 
* 지가는 지대와 비례하는 반면 이자율과는 반비례한다.
* 지대에 대한 많은 논쟁들이 있는데 가장 중요한 핵심은 지대가 토지로부터 생산된 재화의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생산비로 볼 것인가 아닌가의 문제이다
 
== 종류 ==
 
=== 두 고전 학파의 관점 ===
두 학파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토지를 생산 요소로 볼 것인지 그에 따라 지대를 잉여로 볼 것인지이다.
 
==== 고전학파의 관점 ====
 
* 노동가치설에 근거를 두고 있는 학파로서 소득분배 문제에 중점을 두어 경제현상을 사회전체의 입장에서 파악
* 생산요소를 노동과 자본으로 묶고 토지는 분리
* 지대는 다른 생산요소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고 남은 잔여인 잉여로 파악하는 입장
* 토지의 부동성과 부증성을 고려
* 생산물가격과의 관계 측면에서는 생산물 가격이 지대를 결정
* 지대를 보는 관점은 지대는 잉여로서 불로소득이라고 간주
 
=== 신고전학파의 관점 ===
 
* 한계효용이론에 근거를 두고 자원의 효율적 이용에 중점
* 비용으로서 지대는 다양한 용도에 대한 토지배분을 주도하는 역할을 한다고 판단
* 지대는 잉여가 아니라 생산요소에 대한 대가
** 고전학파와는 달리 노동 자본 토지 모두 생산 요소로 취급
** 생산물가격에 영향을 주는 요소비용
* 지대가 생산물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며 지대는 생산에 기여한 정보에 분배된 몫이며, 잉여가 아님
 
=== 차액지대설 - 리카도 ===
 
* 고전학파 계열 - 지대는 경제잉여로 간주
* 지대가 발생하는 이유를 비옥한 토지의 양이 상대적으로 희소하기 때문
** 토지의 비옥도의 차이에 따라 토지를 나누고 비옥한 토지의 양은 이미 정해져 있음
* 토지의 위치에 따른 비옥도가 차이가 생산성의 차이를 유발하며 그에 따라 지대 차이가 발생
* 토지 중 생산성이 가장 낮은 토지를 한계지라 하고 이는 생산물 가격과 생산비가 일치하며 지대가 발생하지 않음
** 지대는 해당 토지의 생산성과 한계지의 생산성의 차이에 의해 결정
* 지대가 토지생산물가격을 결정하는는 것이 아니라 토지생산물가격이 지대를 결정
 
=== 절대지대설 - 마르크스 ===
 
* 지대는 토지의 사유화로 발생
** 즉 토지소유자가 토지를 소유하는 그 자체로 인하여 발생
* 한계지에서도 토지소유자가 요구하면 지대가 발생
* 지대는 생산물 가격에 영향을 받음
 
=== 준지대설 - 마샬 ===
 
* 일시적으로 토지와 유사한 성격을 가지는 생산요소에 귀속되는 소득을 준지대로 설명
* 단기적으로 공급량이 일정한 생산요소에 지급되는 소득으로 봄
* 준지대는 토지 이외의 고정생산요소 즉 건물 또는 기계라고 보고 귀속되는 소득으로서 단기간 일시적으로 발생한다고 함
 
== 같이 보기 ==
 
* [[도시공간구조이론]]
부동산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부동산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