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행위의 무효: 두 판 사이의 차이

부동산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5번째 줄:
!'''구분'''
!'''구분'''
!'''무효'''
!'''무효'''
!'''취소'''
!'''[[법률행위의 취소|취소]]'''
|-
|-
!효력
!효력

2022년 3월 25일 (금) 11:25 판

무효란 법률행위가 성립한 때부터 법률상 당연히 효력이 없는 것으로 확정된 것으로, 당사자가 의도한 법률상의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무효의 취소의 차이

구분 무효 취소
효력 처음부터 효력이 없음 취소 전에는 일단 유효함
주장할 수 있는 자 누구라도 무효를 주장할 수 있음 취소권자가 취소할 수 있음
주장기간 제한 없음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취소권 소멸
예시

법률행위의 일부무효

  • 법률행위의 일부분이 무효인 때에는 그 전부를 무효로 한다.
  • 그러나 그 무효부분이 없더라도 법률행위를 하였을 것이라고 인정될 때에는 나머지 부분은 무효가 되지 않는다.(민법 제137조)

무효행위의 전환

  • 무효인 법률행위가 다른 법률행위의 요건을 구비하고 당사자가 그 무효를 알았더라면 다른 법률행위를 하는 것을 의욕하였으리라고 인정될 때에는 다른 법률행위로서 효력을 가딘다.(민법 제138조)

※ 무효행위의 전환에 관한 사례

매매계약이 약정된 매매대금의 과다로 말미암아 민법 제104조에서 정하는 ‘불공정한 법률행위’에 해당하여 무효인 경우에도 무효행위의 전환에 관한 민법 제138조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당사자 쌍방이 위와 같은 무효를 알았더라면 대금을 다른 액으로 정하여 매매계약에 합의하였을 것이라고 예외적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대금액을 내용으로 하는 매매계약이 유효하게 성립한다.(대판 2009다50308)

무효행위의 추인

  • 무효인 법률행위는 추인하여도 그 효력이 생기지 않는다.
  • 그러나 당사자가 그 무효임을 알고 추인한 때에는 새로운 법률행위로 본다.(민법 제139조)

※ 무효행위 추인에 관한 사례

무효등기의 유용에 관한 합의 내지 추인은 묵시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나, 위와 같은 묵시적 합의 내지 추인을 인정하려면 무효등기 사실을 알면서 장기간 이의를 제기하지 아니하고 방치한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그 등기가 무효임을 알면서도 유효함을 전제로 기대되는 행위를 하거나 용태를 보이는 등 무효등기를 유용할 의사(중략)...가 있어야 한다.(대판 2006다50055)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